아이부키 Social Developer

거버넌스 전쟁

거버넌스 전쟁 갈등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원한다면 그런 소원은 결코 이룰 수 없다. 세상은 사람의 뜻대로 그렇게 만만하게 돌아가주지 않는다. 단번에 모든 문제를 해결할 것 같은 로또 잿팟은 잠시 문제를 미뤄둘 뿐이지 문제 자체를 없애주진 않는다. 강제로 모든 문제를 거세한 삶은 맥동을 멈추고 좀비처럼 변하고 만다. 신약성경에 이런 구절이 있다. "내가 세상에 화평을 주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말라. 화평이 아니요 검劍을 주러 왔노라. 내가 온 것은 사람이 그 아버지와, 딸이 어머니와, 며느리가 시어머니와 불화하게 하려 함이...

/ 2020.10.20

[한겨레] '함께 사는 도시, 생동감 있는 공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함께 사는 도시, 생동감 있는 공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한겨레] [연속기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커뮤니티 ③ 사회적기업 아이부키가 짓고 운영하는 도시임대부 사회주택인 ‘홍시주택’ 입주자들이 1층에 있는 로운쌀롱에 모여 입주자 모임 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아이부키 제공 독립한 청년 1인 가구 대다수가 고시원이나 원룸과 같은 방 한 칸짜리 공간에서 살아간다. 비슷한 구조와 규모의 옆방에도 같은 또래의 청년이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실상은 잠만 자거나 잠깐 살고 떠나는 공간이라 서로 인사를 나누...

/ 2019.11.12

[기사] LH 토지임대부 사회주택사업 업계 관심 고조

수원조원 토지임대부 사회주택 조감도.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시행하는 토지임대부 사회주택사업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뜨겁다. 사회주택은 사회적 경제주체가 공급ㆍ관리를 맡아 입주민들이 저렴한 임대료에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임대주택의 한 유형으로, LH가 올해 2호 사업의 민간사업자 공모를 진행중이다. 30일 LH에 따르면 최근 고양삼송 사회주택사업의 사업제안서 접수를 받은 결과, 사회적 기업을 주관사로 한 (유)더함 컨소시엄과 ㈜안테나 컨소시엄이 참여해 경쟁을 벌인다. 더함 컨소시엄에는 이엠에이건축사...

/ 2019.11.01

[기사] 장안평에서 코워킹과 코리빙이 만나는 ‘장안생활’

장안평에서 코워킹과 코리빙이 만나는 ‘장안생활’ 11월 준공 앞두고 내부공개, 도시재생 거점 기대 [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장안평 도시재생의 주요 거점이자 코워킹·코리빙 스페이스인 ‘장안생활’이 준공을 앞두고 속살을 공개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사회주택협회는 29일 오후 서울 장안동에서 도시재생활동가 육성 통합교육으로 전국 청년공년공간을 찾아가는 현장특강 ‘둥지 이음’을 진행했다. 예비활동가, 청년창업가, 사회주택 예비사업자 등 전국 각지에서 도시재생에 관심있...

/ 2019.10.30

[기사] 사회주택, 복지 넘어 관계·즐거움 향해 간다

[사회주택이 진화한다] 민관 협력으로 공동주택 조성해 공급 임대료는 시세 60~80%, 최장 15년까지 주거 부담 던 청년들, 주체적 인생 찾아 개인 공간선 나만의 생활 온전히 누리고 커뮤니티 공간, ‘주거 공동체’ 회복 효과 저렴하지만 환경은 쾌적하고 쫓겨날 걱정 없이 오래 살 수 있는 집. 무주택자들의 ‘로망’일 것이다. 여기에 가까이 지낼 수 있는 이웃까지 있다면 금상첨화다. 최근 늘어나는 ‘사회주택’은 이런 로망을 실현하기 위해 등장한 모델이다. 비영리법인이나 사회적기업 등 민간 사업...

/ 2019.09.10

[기사] 인천도시공사, 돋움집 희망사업자로 아이부키(주) 콘소시엄 선정

인천도시공사(사장 박인서)는 기존의 공공임대주택에서 탈피한 새로운 형태의 리모델링형 돋움집 희망사업자로 아이부키(주) 콘소시엄을 선정하고 IMCD형 공공임대 모델 적용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돋움집 프로젝트는 도시재생과 주거복지를 연계한 새로운 방식의 임대주택으로 이번 시범사업은 공사가 보유한 노후주택과 지원금을 제공하고 사회적 기업이 리모델링을 진행해 사회주택형 임대주택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형태로 추진된다. 인천지역에서는 사업성 및 지원제도의 부재로 사회주택이 정착하기 어려웠으나 ...

/ 2019.04.01

[기사] 홍시주택의 ‘시민사회 2기’ 실험

홍시주택 입주민들의 정례회의, 바베큐 파티, 로운쌀롱이 개최한 벼룩시장 등 주민공동체 활동 모습. /로운쌀롱 제공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서울 금천구 독산동에 위치한 사회주택 ‘홍시주택’을 12일 오후 찾았다. SH공사가 매입해 장기로 임대해준 토지 위에 신축한 공동주택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소개한 ‘셰어어스’가 서울시 사회주택 사업 중 ‘리모델링형’이라면, 홍시주택은 ‘토지임대부’ 형태다. 다양한 1인 가구들이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처음부터 디자인됐다는 게 특징이다....

/ 2018.11.14

[기사] '도시재생기금+임팩트 투자' 결합한 첫 사업 나왔다

지난 6월 HUG 보증심사 대출집행 이어 크라우드 펀딩으로 자금 추가 모집..."新사업모델 주목" 아이부키의 장안평 역세권 사업 조감도 국내 처음으로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도시재생보증기금과 크라우드 펀딩을 동시에 활용한 역세권 개발사업이 등장했다. 기존의 토지임대부 사회주택의 틀을 벗어난 도시재생형 개발사업이란 점에서 투자자와 시장 관계자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6일 도시재생 업계에 따르면 지난 달 31일 아이부키(주)가 지하철5호선 장안평역에서 5분거리에 위치한 낡은 주택을 복합건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 추진을 위...

/ 2018.08.08

[보도] 사회주택 진화 중…규모 커지고 공간 다양화

사회주택 진화 중…규모 커지고 공간 다양화 서울시, 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으로 사업비의 90%까지 지원 협약 첫 적용 48세대 ‘연희자락’ 눈길 녹색친구들 등 3개 시공사 힘 합쳐 네덜란드 사회주택 34% 수준 우리는 지난해 566호 공급 불과 서울 서대문구청 뒤인 연희동 168-15번지. 주변에 3~4층짜리 연립주택이 자리잡은 942㎡(285평) 크기의 이 서울시 소유 빈터에 올해 흥미로운 ‘실험’이 시작된다. 사회적경제를 지향하는 ‘녹색친구들, 아이부키, 안테나’ 등 세 기업이 힘을 모아 사회주...

/ 2018.01.09

[국토연구원 정기간행물] 창작자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하다

국토연구원 정기간행물에서 '따뜻한 남쪽'이 소개되었습니다. 따뜻한 남쪽의 건축주, 일상예술창작센터의 최현정 사무국장이 게재한 글입니다. 창작자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하다-따뜻한 남쪽.pdf Issue Date : 2016-09-10 Publisher :국토연구원 Series/Report no. :통권419호 (2016.09) URI :http://library.krihs.re.kr/upload/publication/publication1/0000080758.pdf http://repo.krihs.re.kr/handle/2015.oak/44093 ISSN : 1739-3450

/ 2018.01.08

[보도] 사회를 이롭게 하는 사업, 돈 걱정 덜 하게…

사회를 이롭게 하는 사업, 돈 걱정 덜하게… 사회투자기금 소셜하우징 사업 분야 등에 큰 힘, 부족한 기금과 운영상 문제점 개선돼야 등록 : 2016-11-10 11:59 일상예술창작센터는 사회투자기금 대출로 ‘따뜻한 남쪽’을 지었다. 2일 오후, 센터의 양수현(왼쪽) 팀장과 최현정 사무국장이 아이들과 집에서 기차놀이를 하고 있다. 장철규 기자 chang21@hani.co.kr “15년 동안 활동하면서 월세를 적게는 25만 원, 많게는 270만 원까지 냈어요. 직원들 월급 주기 어려울 때도 월세는 내야 했죠. 이제 이사 걱정, 월세...

/ 2018.01.08

'이사·월세·주인 눈치 부담 없는' 난 이런 집에 산다

'이사·월세·주인 눈치 부담 없는’ 난 이런 집에 산다 [밥&법] 진화하는 사회주택 주거복지의 대안, 사회주택의 의미있는 진화 청년주거 공유주택 허그 셰어하우스에서 나홀로 어르신 위한 맞춤형 공공원룸주택까지 사회적기업, 두꺼비하우징이 서울 성동구 용답동에 마련한 공유주택 공가 9호점의 입주민 공용공간의 모습.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으로 구성된 입주 청년들은 2층에 자리한 이 곳에서 모여 크고 작은 ‘집안 일’을 의논한다. 티브이와 컴퓨터, 영화를 볼 수 있는 빔프로젝터까지 갖추...

/ 2017.02.28

[사회적기업가포럼] 자생하는 시민, 재생되는 도시

[사회적기업가포럼] 아이부키 '이광서' 대표 - 자생하는 시민, 재생되는 도시

/ 2015.12.11

[보도] 아이부키, 홀몸어르신에 맞춤주택

[사회적기업 123] 아이부키, 홀몸어르신에 맞춤 주택 도시생활형 임대주택 '원룸의 할배'로 매출 15억 달성 김경태 기자 | kkt@newsprime.co.kr | 2015.07.14 19:03:33 [프라임경제] 노인 관련, 우리나라는 두 가지 부분에서 OECD국가 중 1위를 차지했다. 바로 노인빈곤층 비율과 노인자살률이다. 지난 2011년 통계청이 발표한 노인 사망원인 통계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10만명당 79.9명이, 80세 이상은 10만명당 116.9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사회와 가족의 외면 속에 가난과 외로움과 싸우다 자살을 선택한 것이다...

/ 2015.07.21

세월을 이기는 ‘힘’, 이젠 사회주택이다!

원문보기 세월을 이기는 ‘힘’, 이젠 사회주택이다! 사회주택 발기인대회 및 창립총회 현장 집 이 ‘짐’이 되어버린 시대. 여기 더 이상 집을 삶의 짐이 아닌, ‘힘’이 되도록 만들겠다는 사람들이 모였다. ‘사회주택협회’가 바로 그것이다. 이들은 늘어만 가는 주거문제에 공동체지향의 사회주택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공감하고, 사회주택 주체들 간의 상호협력과 자원공유를 위해 협회를 만들게 됐다고 한다. 사회주택협회가 지난 28일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그 런 그들이 지난 28일, 서...

/ 2015.06.25

[보도 기사] 독거노인 대책, 함께 사는 '어르신 공공주택'

기사 원문 및 영상 보기 【 앵커멘트 】 가족공동체가 해체되고, 자녀 도움을 받을 수 없는 노인들이 많아지면서 고독사 역시 늘고 있는데요. 서울시가 혼자 사는 어르신들을 위한 대안으로 '맞춤형 공공주택'을 내놨습니다. 전남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올해 여든 한 살 조필영 할머니. 또래 할머니들과 즐겁게 담소를 나눕니다. 모두 같은 공공주택에 사는 어르신들. 금천구에서 지난 3월 문을 연 '어르신 공공주택'엔 이렇게 1층에 어르신들이 모여 담소를 나누는 공동체방이 있습니다. 일주일에 두 번, 자...

/ 2015.05.21

[기사] '2014 자치구 행정 우수사례 10선' 선정[금천구 홀몸어르신 맞춤형 공공원룸주택]

'2014 자치구 행정 우수사례 10선' 선정[금천구 홀몸어르신 맞춤형 공공원룸주택] 금천구 홀몸어르신 맞춤형 공공원룸주택 ‘자치구 행정 우수사례 10선’ 선정 자로 잰 듯 빽빽하게 들어선 아파트. 현대 주거공간의 대명사인 아파트는 ‘개성’이란 단어와는 거리가 멀다. 급격한 산업화는 도시를 회색빛으로 만들었고, 건물에 사람이 적응해야 하는 ‘주객전도(主客顚倒)’의 기현상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지난달 6일, ‘2014 서울시 자치구 행정우수사례 10선’에 금천구의 &lsqu...

/ 2014.12.1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