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담론]"설국열차를 탈출하라" (2014.05.28)
[시론 담론]"설국열차를 탈출하라"
이광서 ㈜아이부키 대표·논설위원
 
  등록 : 2013년 08월 11일 (일) 19:30:57
최종수정 : 2013년 08월 11일 (일) 19:31:54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생명은 통째로 하나다. 분리되지 않는 것이 생명의 본 모습이다. 생명은 다양한 층위로 엮여 상호작용하며 하나의 흐름을 만든다. 생명에서 개체를 떼어내는 일은 불가능하다. 생명의 흐름이 역사고 우리 삶은 그 흐름을 따른다. 개체라는 개념 자체가 실재하지 않으므로 영생이나 소유 등의 개념은 허망하다. 영생이나 소유의 주체는 개체인데, 개체는 실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흐름으로 표현되는 통짜 덩어리 생명은 마치 곤충이 탈피와 변태의 과정을 거쳐 성장하듯 단절되는 것처럼 보이는 변화를 품는다. 전체로 보면 역사는 연속되고 진화는 중단없이 일어난다. 그러나 그 속을 들여다보면 '도약'이 있다. 양자물리에서는 '양자도약'(Quantum Leap)이라고 한다. 에너지 준위가 낮은 상태에서 충분한 에너지를 흡수하면 마치 점프하듯 전혀 다른 준위로 뛰어오르는 현상이다.

건강한 역사는 이렇게 눈에 띄는 도약을 반영하면서, 그것을 역사의 한 부분으로 품으며 나아간다. 말이 그렇지 역사에서 이러한 과정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도약이란 곧 세대교체라고 할 수도 있지만 다른 말로는 '죽음'과도 같기 때문이다. 한 때 역사를 주도했던 세대는 에너지를 품고 있는 전혀 다른 세대에 의해 완전히 교체돼야 한다. 

역사에서 최근까지 이런 현상은 대개 전쟁과 같은 문명의 충돌에 의해 일어났다. 그러다가 시민의 각성이 프랑스대혁명과 같은 사건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형태의 변화를 꿈꾸게 됐다. 이러한 각성은 더 나아가 인상파 혁명이라는 문화적 사건으로 전개된다. 인상파 혁명이라는 말은 잘 사용하지 않지만 필자가 좋아하는 말이다. 인류사에서 굵은 줄로 기록돼야 하는 멋진 사건이다. 본시 젊은 사람들은 사회적 권력이 없다. 아웃사이더인 셈이다. 그러나 변방에 있던 인상파 젊은 친구들은 학력이나 돈이 아닌 창의라는 무기 하나로 무장하고 불과 수년 만에 역사의 중심을 차지하게 된다. 그것도 피 한방울 흘리지 않고! 이것은 실로 놀라운 역사적 사건이다.

그 후에도 여전히 전쟁은 일어났지만 인상파들의 꿈은 우리에게 생생하게 전달된다. 지구 반대편 김구 선생의 꿈으로 이어졌고 지금 우리에게 가장 절실한 울림으로 전해지고 있다. 무엇인가? 바로 문화가 우리의 살 길이기 때문이다. 총과 칼로 세계를 이길 것도 아니요, 그렇다고 자원으로 대대손손 살 수 있는 땅도 아니다. 변두리 살롱에 앉아 '세상엔 왜 이런 게 없어' 하고 열띠게 목청을 높이던 파리 젊은이들의 그 세계정복의 꿈이 있어야 한다.

어느 방송사 조사에서 초등학교 아이들의 꿈 1위가 공무원으로 조사됐다. 편하게 잘 먹고 잘 사는 것이 최고라는 말이다. 자신이 잘 먹고 잘 사는 얘기가 나오면 꿈이 아닌 거다. 공유돼야 꿈이다. 저 혼자 수근댄다면 그것은 이야기가 아니고 아무것도 아니다. 전달되고 확대되고 인류와 공유돼야 비로소 이야기다. 

영화 설국열차에서 묘사되듯이 제한된 생태계에서 질서와 균형은 필요불가결한 요소다. 사람은 모두 주어진 계급과 역할이 있다. 각자 자신의 역할 안에서 열심히 연기를 마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진화는 의외성으로부터 일어난다. 모든 닫힌 계는 반드시 출구가 있다. 닫힌 계의 출구를 찾는 일이 바로 역사적 진보다. 커다란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작은 사건 작은 조직에서도 마찬가지다. 쳇바퀴처럼 도는 조직의 닫힌 계를 먼저 파악해야 하고, 그 다음은 닫힌 계의 출구를 찾아야 진보가 일어난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극적인 진보는 문화에서 일어날 수밖에 없다. 싸이가 우리에게 영감을 주었듯이, 인터넷의 발달로 창의적 콘텐츠 하나는 순식간에 세계의 중심으로 전파된다. 끝없이 쳇바퀴 도는 설국열차 안에서 아무리 더 나은 자리를 빼앗겠다고 투쟁해봐야 여전히 열차는 주어진 궤도를 돌고, 진보는 일어나지 않는다. 세계의 빈 자리는 언제나 존재한다. 다만 그곳에 아무도 눈길을 주고 있지 않기 때문에 찾기 어려울 뿐이다. 모든 사람들이 앞으로 나아가려는 그 대열에서 눈을 돌려 세계의 빈 곳을 보면 그 곳에 창의가 있다.

 

목록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이부키(주) 서울시 동대문구 장안동 459-5 3층 (02644) (천호대로89길9)
T. 02.553.8387   I   F. 02.426.5521   I   E. info@ibookee.kr
© 2024 iBookee   I   Created by Cr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