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박원순표 공동체주택 마을재생, 뉴타운 부작용 수습할까 (2015.09.10)
박원순표 공동체주택 마을재생, 뉴타운 부작용 수습할까

서울시 맞춤형 커뮤니티 주택 추진, 도시재생·마을공동체 활성화 ‘주목’

 

[0호] 2015년 09월 09일 (수) 08:59:12 윤진석 기자  goodidea@latimes.kr

 
   
▲ 박원순 서울시장이 공동체주택 공모전을 둘러보며 관계자들과 담소를 나누고 있다.

 

최근 서울시 공동체주택정책이 박원순표 뉴타운 수습 방안의 하나로 조명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도시재생을 촉진하고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해주는 근간이 되어줄 전망이다.

 

2002년부터 불거진 MB·오세훈식 뉴타운 사업은 대규모 이주나 강제 철거 등을 전제로 고층 아파트단지를 휘황찬란하게 짓는 거였다. 하지만 장밋빛 입소문에 주택 값만 치솟을 뿐 정작 거래량은 바닥을 쳤다. 그 사이 사업성이 떨어진 곳은 개발되지 못하고 방치된 채 낡고 슬럼화 됐다. 뉴타운 몰락이 불러온 부작용이다.

 

박원순호는 2011년 하반기 입성하면서 뉴타운 재개발 출구전략을 화두로 ‘전면 재검토’를 주문했다. 전체 뉴타운 683개 중 324개 구역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한 시는 지난 4월 정상추진(151개), 정체(132개), 추진 곤란(44개) 지역 등 유형별로 분류한 뒤 맞춤형 대책을 내놓았다.

 

추진이 곤란한 곳 중 제자리걸음을 하는 장안, 수유, 쌍문 등 뉴타운 28곳에 대해서는 지구단위 계획을 직권해제하고 공동체주택 등 공공성을 담보로 한 도시재생지역으로 전환을 꾀하고 있다.

 

시 등에 따르면 공동체주택은 획일화된 아파트가 아닌, 이웃과의 삶도 있고 가족 취향도 담는 등 삶을 공유하는 맞춤형 주택이다. 형태는 육아형, 신혼부부 및 사회초년생형, 정원가꾸기 등의 동호회형, 복지형 주거 공간 등으로 공동의 목적, 관심사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크게는 두 가지 차별성이 있다. 첫째는 공동체특징에 맞게 회의실·북카페 등 커뮤니티 공간과 육아방, 세탁실, 공유서가 등 공유시설이 주택내부에 있다. 둘째는 공동소유, 혹은 임대해 싼 값으로 오랫동안 살 수 있다는 점이다.

 

시는 공동체주택이 뉴타운 재정비해제구역 등이 마을공동체중심의 서울시 주거문화로 전환하는 데 물꼬를 터줄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이다.

 

도난주 서울시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집들이 모여 커뮤니티 공간이 형성되는 곳이 마을이라고 본다”며 “10~60평가량 4~10가구 정도 이하 주택에 육아주택 등 콘셉트별로 관계성을 지닌 사람들이 들어와 산다면 그 자체로 주택이 변하고, 근린생활공간 등 경관이 변하고 맞춤형 커뮤니티 공간도 확장돼 경제활동인프라와 연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성북구에 연극인들이 2000명 정도 모여살고 있다”며 “지금은 싼 임대료 등 때문에 모여 사는 거지만 주변 주민을 위한 연극치료 프로그램 등이 자연스레 커뮤니티 공간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면 마을공동체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재건축 재개발지역을 공동체 주택으로 전환한 사례도 있다. 지난해 은평구 불광동에 공동체주택을 형성한 ‘구름정원사람들’이다. 이를 이끈 하기홍 하우징쿱주택조합1호점 이사장은 7일 서울시청 신청사에서 열린 ‘공동체주택 희망담론 한마당’에서 “오래된 마을을 재정비함에 있어 아름다운 마을을 만드는 게 재건축 재개발보다 중요하다고 봤다”며 “이후 주민과 뜻 모아 협동주택조합 형태로 자연과 인간이 하나 되는 친환경 녹색주택을 짓고 지난해 입주하게 됐다”고 소개했다.

 

이광서 사회적기업 아이부키 대표는 “뉴타운 정책 부작용으로 재건축 재개발 지역이 헝그리한 상태가 됐다. 그럼에도 지역 내 욕망들이 남아있다”며 “이런 욕망들이 공동체주택과 결합한다면 굉장히 강렬한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바라봤다. 아울러 “시민 스스로 주체가 돼 마을재생으로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면 공동체주택을 더욱 강렬하게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가늠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도시의 전체적인 디자인이 잘못된 게 정말 많다. 공동 육아, 공부방 등 지역 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공동주택만큼 좋은 게 없다”며 "시민 여러분께서 뉴타운 등 지역에 시범모델을 만들면 시가 행정적으로 적극 지원 하겠다“고 약속했다.

 

물론 공동체주택이 확산되기 위한 당면과제는 토지 및 금융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담당 공무원은 “공공토지임대를 비롯해 고령층 소유의 민간 토지 중 잘 쓰지 않는 땅 일부를 임대하는 방식 등을 추진 중에 있다”고 했다. 또 “금융 문제는 전월세 등 임대주택이면 그걸 담보로 입주할 수 있게끔 하거나 공동소유권 형태면 우리은행 등 자가소유형 공동체주택상품 등을 이용해 융자를 해주고 있다”고 했다.

 

한편 서울시는 이날(7일) 사회주택협회, 4개생협, sh공사, 서울연구원 등은 공동체주택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당일 쏟아진 여러 의견을 토대로 다음 달 말 행정·재정지원, 제도 개선 등을 담은 공동체주택 최종 종합계획을 발표할 방침이다.

 

   

    ▲ 서울시 공동체주택 희망담론 한마당이 시청 신청사 3층 대회의실에서 진행됐다.

 

 
   

  ▲ 서울시가 SH, 4대 생협 등과 함께 공동체주택발전방안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서울시공동체주택에 관심을 가진 시민들이 시청 신청사에 마련된 공모전 작품을 둘러보고 있다.

 

 출처: 한국조경신문 http://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22111

 

 

 

 

목록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이부키(주) 서울시 동대문구 장안동 459-5 3층 (02644) (천호대로89길9)
T. 02.553.8387   I   F. 02.426.5521   I   E. info@ibookee.kr
© 2024 iBookee   I   Created by Crom